2025년 1학기에 신설된 주거안정장학금 신청이 다가왔습니다. 원거리 대학에 다니는 대학생들에게 주거 관련 비용을 지원하는 장학금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조건 및 신청 방법, 해당이 되는 대학생이라면 꼼꼼히 읽어본 뒤 약 150만 원 상당 지원금 혜택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목차
주거안정장학금이란?
주거안정장학금이란 원거리 대학에 다니는 기초 및 차상위학생에게 주거관련 비용을 지원하는 장학금 제도입니다. 2025년 1학기를 맞이하기 전에 처음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이 신설을 하였고, 주거 관련 비용도 혜택을 볼 수 있는 유용한 지원 정책입니다.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기간 및 대상
신청 기간
-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기간 : 2025. 2. 4. (화) 9시 ~ 3.18.(화) 18시
- 서류제출 및 가구원 동의기간 : 2025. 2. 4. (화) 9시 ~ 3.25.(화) 18시
반드시 기간 내 학생 본인이 신청을 해야하며, 신청 기간이 지난 후에는 신청할 수 없기 때문에 꼭 기한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 대상
- 신청 대상 : 원거리 대학에 다니는 기초, 차상위학생 (단, 사업 참여대학만 신청 가능)
원거리 : 대학소재지 기준 부모님의 주소지가 다른 교통권에 있는 경우에 해당이 됩니다. 예를 들면 자녀가 학교를 대전에 다니고, 부모님 주소지는 광주권인 경우 해당이 되며, 같은 지역권에서는 신청 대상에 제외가 됩니다.
- 대도시권역 : 수도권 / 부산 및 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시지역 : 인접 (시의 경계를 맞닿고 있는) 시까지
- 군지역 : 해당 군지역 범위까지
신청 방법
주거안정장학금은 인터넷 및 모바일 앱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학생 본인이 반드시 직접 신청을 해야합니다.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장학재단 신청 절차 :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접속 ▶ 장학금 신청 ▶ 신청서 작성 ▶ 주거안정 장학금 신청 완료
- 모바일 앱 신청 절차 : 한국장학재단 모바일 앱 접속 ▶ 장학금 ▶ 장학금 신청 ▶ 통합신청
tip : 모바일 앱이 없다면 아래의 QR코드 사진을 카메라로 인식해서 다운로드하여서 사용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장학재단 PC 신청절차를 잘모르겠다면 여기를 참고해서 신청을 하면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거안정장학금 지원금액 및 지급방식
지원 금액
- 지원 금액은 학기 중 최대 월 20만 원 한도 내에서 지급 예정입니다. (학기 중에만 지원이 가능하며, 방학땐 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지급방식
- 현금 지급 : 지급방식은 학생이 제출한 주거안정장학금 지급 요청서 검토 후 월 지급 한도 내에서 학생이 지출한 비용을 개별 지급할 예정입니다.
2025년 1학기 신설이 되는 지원제도이기 때문에 변동사항이 있을 수도 있는 점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외 신청문의는 한국장학재단 상담센터 (1599-2000)에서 문의가 가능합니다.
결론
2025년 1학기를 앞둔 시점에 한국장학재단과 교육부에서 주거 관련 비용을 지원하는 장학금 제도가 생겨서 더욱 대학생들에게는 희소식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번에 신설이 된 장학금제도이기 때문에 주위에 이 부분을 모르고 있다면, 알려주면 더욱 대학생활하면서 주거 관련하여 비용 혜택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국가장학금 2차 신청을 하면서 신청기간도 같기 때문에 같이 신청하면 2번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 꼭 혜택을 받아보고 학기 중에 약 60만 원 이상 주거 관련 비용을 지원받아보길 바랍니다.
관련 콘텐츠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조류인플루엔자 관련주 - 주목해야할 3가지 기업 전망 (셀트리온, 대웅제약, 한미약품) (0) | 2025.02.05 |
---|---|
한미약품 주가 전망, 목표주가, 과거 주가 폭락사태까지 (128940) (0) | 2025.02.05 |
2025년 대웅제약 주가 전망, 목표주가 (조류인플루엔자 관련주) (0) | 2025.02.05 |
2025년 셀트리온 주가 전망, 배당금, 목표주가 (조류인플루엔자 관련주) (1) | 2025.02.05 |
트럼프 관세 협상, 현대차 주가 전망과 목표주가 상승이유까지 (종목코드 005380)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