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회초년생, 인턴, 아르바이트등 저소득층의 청년들이 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지원형 적금이며, 이자와 비과세를 더불어 혜택이 좋기때문에 대상이 된다면 놓치지않고 지원을 받아 적금을 하여 자산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더욱 자세하고 정확한 내용들을 알고 싶으신분은 아래 바로가기를 눌러서 확인하시면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더욱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입니다.

 

청년희망적금 홈페이지 바로가기 (클릭)

 

청년희망적금 자격 요건 및 가입제한

  1. 나이 : 만 19세 이상 만 34세이하 청년이 해당합니다.
  2. ( 단, 병역을 이행하였음이 증명되는 경우는 최대 6년까지 고려해 현재 연령에서 빼고 계산한 나이로 만 34세 이하면 해당이 됩니다.)
  3. 소득요건 : 총 급여액이 3,600만원 이하
  4. 일정 기간 이상의 국내에서 세금을 납부하며 생활한 외국인도 신청은 가능하니 참고부탁드립니다.
  5. 가입제한 :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가입 대상이 아니므로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서민진흥원

청년희망적금 혜택 및 이자지급방식

  1. 청년희망적금 혜택으로는 기본금리 + 우대금리로 계산이 됩니다. 
  2. 기본 금리가 연금리 5% 고정이 되어있으며, 은행마다 우대 금리 조건이 있습니다. 그러나 은행별로 금리는 비슷하기때문에 주거래은행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청년희망적금 기간도 1년보다는 2년이 혜택이 훨씬 좋으니 가능하면 2년의 적금기간으로 저축장려금까지 받아가면 좋을 것입니다.
  3. 청년희망적금 1년차에서는 기본금리5% + 은행 우대금리 + 2%의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받을수 있습니다.
  4. 청년희망적금 2년만기대상은 기본금리5% + 은행 우대금리 + 4%의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받을수 있습니다.
  5. 만기적금시에 이자지급방식은 만기일시지급식이며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에 해당이 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

  1.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은 13개의 은행 App또는 오프라인 영업점 창구에서 신청이 가능하나 비대면 가입시 금리를 우대 사항이 있기때문에 비대면 가입을 하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2. 해당 되는 은행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3. 전국 은행으로는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이 해당이 됩니다.
  4. 지역 은행으로는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이 해당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청년희망적금 신청하는 사이트로 바로 이동이 됩니다.

 

> 청년희망적금 신청 바로가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