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5

[ 오미크론 진정세로 인한 유럽 마스크의무 해지 ]

오미크론 신규확진 4만명, 이탈리아, 호주 마스크 해지 - 이번 주말 11일부터 이탈리아 전역에서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됩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눈에 띄게 감소하는 데다 백신 접종 캠페인도 매우 잘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되어 내린 조치라고 합니다. 하지만 실내 마스크 의무화는 앞으로도 유지된다네요. - 호주도 2년 가까이 입국을 막았던 외국인인 관광객 입국을 21일부터 허용시작. - 코로나19 백신을 2차 이상맞거나 백신 접종 증명이 필요. 그러나 일본, 독일, 홍콩은 여전히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최고치를 경신하고있고 각 나라마다 방역지침과 생활방역이 달라서일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다같이 완화가 되어야 좋은 부분인데 어느나라는 완화가 되고, 어느나라는 확산세가 최고치를 경신하고있고.. ..

일상정보 2022.02.08

[ 정부, 코로나19 계절독감처럼 관리 검토 ]

정부, 일상으로 돌아갈 방역대책 검토 요즘 코로나19및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서 오미클론 감염자가 급속히 퍼지고있습니다. 그러나 위중증및 치명률이 높지않아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해 위중증, 치명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면 일상회복을 다시 추진하고, 확진자도 계절독감 환자처럼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4일 거리두기(사적모임 6인, 식당,카페등 영업시간 오후 9시 제한)을 2주 연장하는 내용을 더불어 같이 발표를 하였습니다. 코로나18 신규확진자가 현재 3만6000명을 넘어섰지만, 위중증환자는 257명정도밖에 되지않아 확진자는 증가하더라도 위중증, 치명률이 계속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방역 규제를 단계적으로 해제를 얼른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미국 제약회사에서 먹는..

일상정보 2022.02.05

[ 연휴기간 동안 최대 코로나 19 확진자 급증 비상 ]

연휴로 인한 잦은 이동으로 코로나19 확진자 역대 최대 연휴도 오늘로 마지막이 되었는데 전날 1만8342명으로 처음으로 신규 확진자 1만8000명대를 기록했지만, 하루 새 1900명 이상 늘어 2만명을 넘어섰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지난 1월 26일 첫 1만명대를 기록한 지 불과 일주일 만에 확진자가 2만명대로 늘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고 1주 전 1.5배, 2주전과 비교하면 3.5배로 급증하였습니다. 지난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검출되는 비율이 80%로 나타나면서 오미크론이 지배종으로 자리잡았다. 이런 가운데 설 연휴 인구 이동이 많아져 오미크론은 더욱 빠르게 확산하고 있고 연휴 기간 검사량이 다소 감소했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연휴 후 확진자 수는 더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

일상정보 2022.02.02

[ 화이자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 사용 권고, 코로나19종말? ]

화이자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사용 승인 유럽연합(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가 28일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개발한 먹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EU 내 사용을 승인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하였습니다. 드디어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개발이 되었고 2008년 신종플루가 대유행이였던 시절 타미플루로 인해 종결이 되었는데 이번에 화이자에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를 승인하여 이와 같이 코로나19및 오미크론이 치료가 되어 종결이 될수있을까라는 기대를 많이 하고있씁니다. 팍스로비드는 알약 형태의 먹는 항바이러스제이고 화이자의 자체 임상시험 결과 입원과 사망 확률을 89%까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좋은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습니다. 유럽연합에서 먹는 치료제가 승인되는 ..

일상정보 2022.01.29

전국 방역패스 중단, 형평성 논란

전국 방역패스 해제 서울만 방역패스 중단하라고 뉴스가 나왔는데 왜 서울만 방역패스 중단이지? 생각을 하며 주말을 보내고 있었는데 뉴스 속보로 전국 방역패스 중단 불편, 혼란 최소화라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과연 17일에 방역패스가 어떤 정부의 발표가 있을지 기대되는데요 코로나19 및 오미클론도 문제지만 방역지침도 잘따르고 사적모임도 줄일테니 자영업자분들에게도 좋은 소식이 들렸으며 좋겠습니다.

일상정보 2022.01.17